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孝行篇(효행편) 015. 不孝有三(불효유삼) 無後爲大(무후위대).

不孝有三 無後爲大.
불효유삼 무후위대.
불효(不孝)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대(代)를 이어갈 자손(子孫)이 없는 것이 크다.
(불효(不孝)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세 가지 중(中)에 대(代)를 이어갈 자손(子孫)이 없는 것이 가장 크다.)

 

 

 

不(불): 못하다 孝(효): 효도하다
有(유): 있다 三(삼): 셋
無(무): 없다 後(후): 자손
爲(위): ~이다 大(대): 크다

 

 

※어구(語句):
- 不孝(불효): 부모(父母)를 정성(精誠)껏 잘 섬기지 아니하여 자식(子息)된 도리(道理)를 하지 못함. 효성(孝誠)스럽지 아니함.
- 無後(무후): 대(代)를 이어갈 자손(子孫)이 없음. 대(代)가 끊어짐.

 

※음(音)과 훈(訓):

 

 

명심보감(明心寶鑑) 효행편(孝行篇) 015

 

■孟子曰.
■맹자왈.
■맹자(孟子)가 말하였다.

 

■不孝有三 無後爲大.
■불효유삼 무후위대.
■“불효(不孝)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대(代)를 이어갈 자손(子孫)이 없는 것이 크다.”
(불효(不孝)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세 가지 중(中)에 대(代)를 이어갈 자손(子孫)이 없는 것이 가장 크다.)

 

 

 

 

 

 

출전(出典):
- 맹자(孟子) 이루편(離婁篇) 상(上)

 

원문(原文):
孟子曰:「不孝有三,無後為大。舜不告而娶,為無後也,君子以為猶告也。」

 

원문(原文) / 해석(解釋):

 

孟子曰.
맹자왈.
맹자(孟子)가 말하였다.

 

不孝有三 無後爲大.
불효유삼 무후위대.
불효(不孝)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대(代)를 이어갈 자손(子孫)이 없는 것이 가장 크다.

 

舜不告而娶 爲無後也 君子以爲猶告也.
순불고이취 위무후야 군자이위유고야.
순(舜)임금이 아뢰지 아니하고 장가간 것은, 대를 이어갈 자손이 없었기 때문이며, 군자(君子)는 아뢴 것과 같다고 여긴다.

 

참고(參考):
- 맹자(孟子)의 어머니와 관련 있는 고사성어(故事成語)

 

1) 斷機之敎(단기지교): ‘베를 끊은 가르침’, ‘끊긴 베의 교훈’이라는 뜻으로, 학문을 중도에 포기하면 아무런 쓸모가 없음을 뜻하는 말. (고사성어 ‘단기지교’편 참고).

 

2)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 ‘맹자의 어머니가 자식의 교육을 위하여 세 번 이사를 한 가르침’이라는 뜻으로, 교육은 주위의 환경이 중요하다는 뜻. (고사성어 ‘맹모삼천지교’편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