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日或聞一善言 行一善事 此日方不虛生.
일일혹문일선언 행일선사 차일방불허생.
하루에 혹시(或是) 하나의 교훈(敎訓)이 될 만한 좋은 말을 듣거나, 하나의 좋은 일을 행(行)하였다면, 이날이 비로소 헛되이 살지 않은 것이다.
(하루에 혹시(或是) 교훈(敎訓)이 될 만한 좋은 말을 하나라도 듣거나, 좋은 일을 하나라도 행(行)하였다면, 이날이 비로소 헛되이 살지 않은 날이다.)
一(일): 하나 | 日(일): 날 |
或(혹): 혹시 | 聞(문): 듣다 |
一(일): 하나 | 善(선): 좋다 |
言(언): 말 | 行(행): 행하다 |
一(일): 하나 | 善(선): 좋다 |
事(사): 일 | 此(차): 이 |
日(일): 날 | 方(방): 비로소 |
不(불): 아니다 | 虛(허): 헛되다 |
生(생): 살다 |
※어구(語句):
- 一日(일일): ❶하루. ②어느 날.
- 善言(선언): 좋은 말. 교훈(敎訓)이 될 만한 좋은 말. 유익(有益)한 말.
- 善事(선사): ❶착한 일. 좋은 일. ②윗사람을 잘 섬김.
- 此日(차일): 이날.
*비로소: 어느 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전까지 이루어지지 아니하였던 사건이나 사태가 이루어지거나 변화하기 시작함을 나타내는 말.
※音(음)과 訓(훈):
명심보감(明心寶鑑) 계선편(繼善篇) 040
■先儒曰.
■선유왈.
■옛 선비들이 말하였다.
■一日或聞一善言 行一善事 此日方不虛生.
■일일혹문일선언 행일선사 차일방불허생.
■“하루에 혹시(或是) 하나의 교훈(敎訓)이 될 만한 좋은 말을 듣거나, 하나의 좋은 일을 행(行)하였다면, 이날이 비로소 헛되이 살지 않은 것이다.”
(하루에 혹시(或是) 교훈(敎訓)이 될 만한 좋은 말을 하나라도 듣거나, 좋은 일을 하나라도 행(行)하였다면, 이날이 비로소 헛되이 살지 않은 날이다.)
'명심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42. 我如爲善(아여위선) 雖一介寒士(수일개한사) 有人服其德(유인복기덕). (0) | 2019.08.27 |
---|---|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41. 行合道義(행합도의) 不卜自吉(불복자길). (0) | 2019.08.26 |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39. 見賢思齊焉(견현사제언) 見不賢而內自省也(견불현이내자성야). (0) | 2019.08.24 |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38. 見善如不及(견선여불급) 見不善如探湯(견불선여탐탕). (0) | 2019.08.23 |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37. 楚國無以爲寶(초국무이위보) 惟善以爲寶(유선이위보). (0) | 2019.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