見人之惡而尋己之惡. 견인지악이심기지악. 다른 사람의 잘못을 보면서 자기의 잘못을 찾아라. (다른 사람의 단점(短點)을 보면서 자기에게는 그러한 단점이 없는지 돌아보라.)
見(견): 보다
人(인): 다른 사람
之(지): ~의
惡(악): 잘못
而(이): ~하면서
尋(심): 찾다
己(기): 자기
之(지): ~의
惡(악): 잘못
※어구(語句): *短點(단점): 잘못되고 모자라는 점(點).
※음(音)과 훈(訓):
<더보기> <접기>
見(견): ❶보다. ②보이다. ③당(當)하다. ④견해(見解). ⑤뵙다 (현). ⑥보이다 (현). ⑦나타나다, 드러나다 (현). ⑧소개(紹介)하다 (현). ⑨만나다 (현). ⑩지금, 현재(現在) (현).人(인): ❶다른 사람. 타인(他人). ②사람. 인간(人間). ③백성(百姓). ④어른. 성인(成人). ⑤사람됨. ⑥그 사람. ⑦딴사람.之(지): ❶~의. ②~은. ~는. ③~에. ~에 있어서. ④~와. ~과. ⑤~이. ~가. ⑥~을. ⑦이. 이것. ⑧그. 그것. ⑨이에. 이곳에. ⑩그리고. ⑪만일(萬一). 만약(萬若). ⑫실제적(實際的)인 작용(作用)을 하지 않는 지시대명사(指示代名詞). 주로 접미사(接尾辭)로 쓰임. ⑬가다. ⑭이르다. 도달(到達)하다. ⑮쓰다. 사용(使用)하다. ⑯영향(影響)을 끼치다.惡(악): ❶잘못. ②악인(惡人). 나쁜 사람. ③악(惡). 도덕적(道德的)인 기준(基準)에 어긋나 나쁜 것. ④똥. 대변(大便). ⑤병(病). 질병(疾病). ⑥재난(災難). ⑦악(惡)하다. ⑧나쁘다. ⑨더럽다. ⑩못생기다. 추(醜)하다. ⑪흉년(凶年) 들다. ⑫병(病)들다. ⑬미워하다, 싫어하다 (오). ⑭헐뜯다 (오). ⑮부끄러워하다 (오). ⑯두려워하다 (오). ⑰어찌 (오). ⑱어느 (오).而(이): ❶~하면서. ②그러나. 그런데도. ~지만. ~면서. [역접(逆接)을 나타냄] ③그리고. ~(하)고(도). [순접(順接)을 나타냄] ④~로서. ~에. ⑤같다. ⑥그대. 자네. 너. ⑦뿐. 따름. ⑧만약(萬若). 만일(萬一). ⑨말을 잇다.尋(심): ❶찾다. ②연구(硏究)하다. ③생각하다. ④높다. ⑤길다. ⑥깊다. ⑦미치다. 이르다. ⑧치다. ⑨쓰다. ⑩갑자기. ⑪이윽고. ⑫얼마 되지 아니하여.己(기): ❶자기(自己). 자아(自我). ②몸. ③사욕(私慾). ④어조사(語助辭). ⑤다스리다.之(지): ❶~의. ②~은. ~는. ③~에. ~에 있어서. ④~와. ~과. ⑤~이. ~가. ⑥~을. ⑦이. 이것. ⑧그. 그것. ⑨이에. 이곳에. ⑩그리고. ⑪만일(萬一). 만약(萬若). ⑫실제적(實際的)인 작용(作用)을 하지 않는 지시대명사(指示代名詞). 주로 접미사(接尾辭)로 쓰임. ⑬가다. ⑭이르다. 도달(到達)하다. ⑮쓰다. 사용(使用)하다. ⑯영향(影響)을 끼치다.惡(악): ❶잘못. ②악인(惡人). 나쁜 사람. ③악(惡). 도덕적(道德的)인 기준(基準)에 어긋나 나쁜 것. ④똥. 대변(大便). ⑤병(病). 질병(疾病). ⑥재난(災難). ⑦악(惡)하다. ⑧나쁘다. ⑨더럽다. ⑩못생기다. 추(醜)하다. ⑪흉년(凶年) 들다. ⑫병(病)들다. ⑬미워하다, 싫어하다 (오). ⑭헐뜯다 (오). ⑮부끄러워하다 (오). ⑯두려워하다 (오). ⑰어찌 (오). ⑱어느 (오).
<접기>
명심보감(明心寶鑑) 정기편(正己篇) 001
■性理書云. ■성리서운. ■성리서(性理書)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더보기> <접기>
性理書(성리서): 성리학(性理學)에 관한 책(冊).性理學(성리학): 중국 송(宋)나라와 명(明)나라 시대(時代)의 유학(儒學)의 한 계통(系統)으로, 주돈이(周敦頤)/정호(程顥)/정이(程頤) 등(等)이 기초(基礎)를 닦고 주희(朱熹)가 집대성(集大成)하였음.
<접기>
■見人之善而尋己之善, ■견인지선이심기지선, ■“다른 사람의 훌륭함을 보면서 자기(自己)의 훌륭함을 찾고, (다른 사람의 장점(長點)을 보면서 자기(自己)에게는 그러한 장점이 없는지 돌아보고,)
<더보기> <접기>
人(인): ❶다른 사람. 타인(他人). ②사람. 인간(人間). ③백성(百姓). ④어른. 성인(成人). ⑤사람됨. ⑥그 사람. ⑦딴사람.善(선): ❶훌륭하다. / 여기에서는 ‘장점(長點)’의 뜻으로 해석함. ②좋다. ③잘하다. ④착하다. 선(善)하다. ⑤아끼다. ⑥옳게 여기다. ⑦친(親)하다. 사이좋다. ⑧선(善). 착하고 정당(正當)하여 도덕적(道德的)인 기준(基準)에 맞는 것.*長點(장점): 좋거나 훌륭하거나 잘하거나 긍정적(肯定的)인 점(點).而(이): ❶~하면서. ②그러나. 그런데도. ~지만. ~면서. [역접(逆接)을 나타냄] ③그리고. ~(하)고(도). [순접(順接)을 나타냄] ④~로서. ~에. ⑤같다. ⑥그대. 자네. 너. ⑦뿐. 따름. ⑧만약(萬若). 만일(萬一). ⑨말을 잇다.尋(심): ❶찾다. 캐묻다. 더듬다. ②연구(硏究)하다. 탐구(探求)하다. ③쓰다. 사용하다. ④치다. 토벌(討伐)하다. ⑤잇다. 계승(繼承)하다. ⑥거듭하다. ⑦첨가(添加)하다. ⑧생각하다. ⑨높다. ⑩길다. ⑪깊다. ⑫미치다. 이르다. ⑬길. 발. (길이의 단위(單位). ⑭자. 길이를 재는 기구(器具). ⑮여덟 자. ⑯보통(普通). 평소(平素). ⑰갑자기. ⑱이윽고. 얼마 있다가. 얼마 되지 아니하여.
<접기>
■見人之惡而尋己之惡, ■견인지악이심기지악, ■다른 사람의 잘못을 보면서 자기의 잘못을 찾아라.
(다른 사람의 단점(短點)을 보면서 자기에게는 그러한 단점이 없는지 돌아보라.)
<더보기> <접기>
惡(악): ❶잘못. / 여기에서는 ‘단점(短點)’의 뜻으로 해석함. ②악인(惡人). 나쁜 사람. ③악(惡). 도덕적(道德的)인 기준(基準)에 어긋나 나쁜 것. ④똥. 대변(大便). ⑤병(病). 질병(疾病). ⑥재난(災難). ⑦악(惡)하다. ⑧나쁘다. ⑨더럽다. ⑩못생기다. 추(醜)하다. ⑪흉년(凶年) 들다. ⑫병(病)들다. ⑬미워하다, 싫어하다 (오). ⑭헐뜯다 (오). ⑮부끄러워하다 (오). ⑯두려워하다 (오). ⑰어찌 (오). ⑱어느 (오).*短點(단점): 잘못되고 모자라는 점(點).
<접기>
■如此方是有益. ■여차방시유익. ■이러하다면 앞으로 틀림없이 도움이 될 것이다.”
<더보기> <접기>
如此(여차): ❶이와 같음. 이러함. ②일이 뜻대로 되지 아니함.方(방): ❶장차(將次). 앞으로. ②바야흐로. 지금 한창. ③이제. 막. 방금. 갓. ④비로소. 그제야. 마침내. 겨우. ⑤모. 네모. ⑥방위(方位). 방향(方向). ⑦나라. 국가(國家). ⑧곳. 장소(場所). ⑨도리(道理). 의리(義理). ⑩방법(方法). 수단(手段). ⑪술법(術法). 방술(方術). ⑫처방(處方). 약방문(藥方文). ⑬법(法). 법도(法度). 규정(規定). ⑭쪽. 상대방(相對方). ⑮목판(木板). ⑯둘레. ⑰두루. 널리. ⑱모두. 함께. ⑲성(姓)의 하나. ⑳본뜨다. 모방(模倣)하다. ㉑네모지다. ㉒바르다. 정직(正直)하다. ㉓견주다. 비교(比較)하다. ㉔대등(對等)하다. 동등(同等)하다. ㉕나란히 하다. ㉖떳떳하다. ㉗패다. 이삭이 패다. ㉘차지하다. ㉙헐뜯다. ㉚거스르다. 거역(拒逆)하다.是(시): 형용사(形容詞)나 동사성(動詞性) 술어(述語)의 앞에 쓰여 강한 긍정(肯定)을 나타냄. ‘확실(確實)히’, ‘틀림없이’, ‘정말’, ‘참으로’, ‘진정(眞正)’의 뜻.有益(유익): 이(利)롭거나 이익(利益)이 있음. 이(利)롭거나 도움이 될 만한 것이 있음. 도움이 됨. 이(利)로움. 유익(有益)함. 유리(有利)함.
<접기>
출전(出典): - 주자어류(朱子語類) 논어구(論語九) -> 이인편하(里仁篇下) 견현사제언장(見賢思齊焉章)
<더보기> <접기>
朱子(주자): 중국(中國) 송(宋)나라의 유학자(儒學者)인 주희(朱熹)를 높여 부르는 말.朱子語類(주자어류): 중국(中國) 송(宋)나라의 유학자(儒學者)인 여정덕(黎靖德)이 주자(朱子)와 제자(弟子)들이 묻고 답한 내용(內容)을 기록(記錄)한 책(冊).
<접기>
원문(原文): 「見賢思齊焉,見不賢而內自省也」。見人之善,而尋己之善;見人之惡,而尋己之惡。如此,方是有益。
주자어류의 원문에 실려 있는 내용 중에서 “見賢思齊焉 見不賢而內自省也”는 논어의 이인편에 실려 있는 내용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출전(出典): - 논어(論語) 이인편(里仁篇)
원문(原文): 子曰:「見賢思齊焉,見不賢而內自省也。」
원문(原文) / 해석(解釋): 자세한 풀이는 명심보감 계선편 039를 참고 하세요. (바로 가기 )
子曰. 자왈.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見賢思齊焉 見不賢而內自省也. 견현사제언 견불현이내자성야. “어진 사람을 보면 동등(同等)해질 것을 생각하고, 어질지 아니한 사람을 보면서 남몰래 스스로 반성(反省)한다.” (어진 사람을 그 사람과 보면 동등(同等)하게 될 것을 생각하고, 어질지 아니한 사람을 보면서 남몰래 자기(自己)의 태도(態度)나 행동(行動)을 스스로 반성(反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