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078. 良藥苦口利於病(양약고구이어병) 忠言逆耳利於行(충언역이이어행).

良藥苦口利於病 忠言逆耳利於行.
양약고구이어병 충언역이이어행.
”좋은 약(藥)은 입에 쓰지만 병(病)에 이(利)롭고, 충고(忠告)하는 말은 귀에 거슬리지만 행실(行實)에는 이롭다.”
(좋은 약(藥)은 입에 쓰지만 병(病)에 이(利)롭고, 결함(缺陷)이나 잘못을 타이르는 말은 듣기 싫지만 행실(行實)에는 이롭다.)

 

 

 

良(양): 좋다 藥(약): 약
苦(고): 쓰다 口(구): 입
利(이): 이롭다 於(어): ~에
病(병): 병 忠(충): 충성스럽다
言(언): 말 逆(역): 거스르다
耳(이): 귀 利(이): 이롭다
於(어): ~에 行(행): 행실

 

 

※어구(語句):
- 良藥(양약): ❶좋은 약(藥). 효험(效驗)이 있는 좋은 약(藥). ②문제(問題)나 어려움을 해결(解決)할 수 있는 좋은 방법(方法)을 비유(比喩)하는 말. 좋은 처방(處方). 좋은 해결책(解決策).
- 忠言(충언): ❶충고(忠告)하는 말. 다른 사람의 결함(缺陷)이나 잘못을 진심(眞心)으로 타이르는 말. ❷충직(忠直)한 말.
*타이르다: 잘 깨닫도록 일의 이치(理致)를 밝혀 말해 주다.
*거스르다: ❶일이 돌아가는 상황(狀況)이나 흐름과 반대(反對)되거나 어긋나는 태도(態度)를 취(取)하다. ②다른 사람의 말이나 가르침, 명령(命令) 따위와 어긋나는 태도(態度)를 취(取)하다. ③다른 사람의 마음을 언짢게 하거나 기분(氣分)을 상(傷)하게 하다.
*거슬리다: 순순(順順)히 받아들여지지 않고 언짢은 느낌이 들며 기분(氣分)이 상(傷)하다.

 

※음(音)과 훈(訓):

 

 

명심보감(明心寶鑑) 정기편(正己篇) 078

 

■子曰.
■자왈.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良藥苦口利於病,
■양약고구이어병,
■”좋은 약(藥)은 입에 쓰지만 병(病)에 이(利)롭고,
(좋은 약(藥)은 입에 쓰지만 병(病)에 이(利)롭고,)

 

■忠言逆耳利於行.
■충언역이이어행.
■충고(忠告)하는 말은 귀에 거슬리지만 행실(行實)에는 이롭다.”
(결함(缺陷)이나 잘못을 타이르는 말은 듣기 싫지만 행실(行實)에는 이롭다.)

 

 

 

 

 

 

출전(出典):
- 공자가어(孔子家語) 육본편(六本篇)
- 설원(說苑) 정간편(正諫篇)
- 사기(史記) 회남형산열전(淮南衡山列傳)

 

비슷한 내용을 설원(說苑) 정간편(正諫篇), 공자가어(孔子家語) 육본편(六本篇), 사기(史記) 회남형산열전(淮南衡山列傳)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설원 정간편에는 양약(良藥), 공자가어 육본편에는 약주(藥酒), 사기 회남형산열전에는 독약(毒藥)으로 기록(記錄)되어 있으나, 모두 비슷한 뜻입니다.

良藥(양약): ❶좋은 약(藥). 효험(效驗)이 있는 좋은 약(藥). ②문제(問題)나 어려움을 해결(解決)할 수 있는 좋은 방법(方法)을 비유(比喩)하는 말. 좋은 처방(處方). 좋은 해결책(解決策).
藥酒(약주): ❶약성(藥性)을 포함한 술, 약(藥)으로 마시는 술. ②술을 높여 부르는 말.
毒藥(독약): ❶병(病)을 고치는 약(藥). ②독성(毒性)을 가진 약제(藥劑).

 

- 공자가어(孔子家語) 육본편(六本篇)
藥酒苦於口而利於病 忠言逆於耳而利於行.
약주고어구이리어병 충언역어이이리어행.

 

- 설원(說苑) 정간편(正諫篇)
良藥苦於口 利於病, 忠言逆於耳 利於行.
양약고어구 이어병, 충언역어이 이어행.

 

- 사기(史記) 회남형산열전(淮南衡山列傳)
毒藥苦於口利於病 忠言逆於耳利於行.
독약고어구리어병 충언역어이리어행.

 

원문(原文):

- 공자가어(孔子家語) 육본편(六本篇)

孔子曰:「藥酒苦於口而利於病,忠言逆於耳而利於行。湯、武以諤諤而昌,桀、紂以唯唯而亡。君無爭臣,父無爭子,兄無爭弟,士無爭友,無其過者,未之有也。故曰:君失之,臣得之;父失之,子得之;兄失之,弟得之;己失之,友得之。是以國無危亡之兆,家無悖亂之惡,父子兄弟無失,而交友無絕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