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081. 君子有三恕(군자유삼서).

君子有三恕.
군자유삼서.
군자(君子)는 세 가지의 서(恕)를 갖추고 있다.

 

 

 

君(군): 군자 子(자): -
有(유): 갖추고 있다 三(삼): 셋
恕(서): 너그러움. 어짊. 사랑. 인자(仁慈)함. 관대(寬大)함 ……  

 

 

※어구(語句):
- 君子(군자): ❶학식(學識)과 덕행(德行)이 뛰어난 사람. ↔ 小人(소인). ②높은 관직(官職)에 있는 사람. 지위(地位)가 높은 사람. ③아내가 남편(男便)을 높여 일컫는 말.
*小人(소인): ❶간사(奸邪)하고 도량(度量)이 좁은 사람. ↔ 君子(군자). ②나이가 어린 사람. ③키나 몸집 등이 작은 사람.
*너그럽다: 마음이 넓고 아량(雅量)이 있다.
*어질다: 마음이 너그럽고 착하며 슬기롭고 덕행(德行)이 높다.
*사랑하다: 어떤 사람이나 존재(存在)를 몹시 아끼고 귀중(貴重)히 여기다.
*인자(仁慈)하다: 마음이 어질고 자애(慈愛)롭다.
*관대(寬大)하다: 마음이 너그럽고 크다.
*후(厚)하다: 마음 씀씀이나 태도(態度)가 너그럽다.

 

※음(音)과 훈(訓):

 

 

명심보감(明心寶鑑) 정기편(正己篇) 081

 

■子貢曰.
■자공왈.
■자공(子貢)이 말하였다.

 

■君子有三恕.
■군자유삼서.
■“군자(君子)는 세 가지의 서(恕)를 갖추고 있다.

 

■有君不能事 有人而求其使 非恕也,
■유군불능사 유인이구기사 비서야,
■임금은 잘 섬기지 못하고, 다른 사람이 순종(順從)하기를 바라는 것은 서(恕)가 아니며,
(임금은 잘 섬기지 못하면서, 다른 사람들이 자기(自己)에게 순종(順從)하기 바라는 것은 서(恕)가 아니며,)

 

■有親不能報 有子而求其孝 非恕也,
■유친불능보 유자이구기효 비서야,
■부모(父母)님은 잘 보답(報答)하지 못하고, 자식(子息)이 효도(孝道)하기를 바라는 것은 서가 아니며,
(부모(父母)님의 은혜(恩惠)에는 잘 보답(報答)하지 못하면서, 자식(子息)들이 자기에게 효도(孝道)하기를 바라는 것은 서가 아니며,)

 

■有兄不能敬 有弟而求其聽令 非恕也.
■유형불능경 유제이구기청령 비서야.
■형(兄)은 잘 공경(恭敬)하지 못하고, 아우가 명령(命令)을 따르기를 바라는 것은 서가 아니다.

(형(兄)은 잘 공경(恭敬)하지 못하면서, 아우가 자기ㅇ의 명령(命令)에 따르기를 바라는 것은 서가 아니다.)

 

■士明於此三恕 則可以端身矣.
■사명어차삼서 즉가이단신의.
■선비가 이 세 가지 서에 밝다면, 자기를 바르게 할 수 있다.”

 

출전(出典):
- 순자(荀子) 법행편(法行篇)

 

원문(原文):
孔子曰:「君子有三恕:有君不能事,有臣而求其使,非恕也;有親不能報,有子而求其孝,非恕也;有兄不能敬,有弟而求其聽令,非恕也。士明於此三恕,則可以端身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