積善之家必有餘慶.
적선지가필유여경.
착한 일을 많이 한 집안은 반드시 훗날 그 자손에게 경사(慶事)가 있다.
積(적): 쌓다 | 善(선): 착하다 |
之(지): ~는 | 家(가): 집안 |
必(필): 반드시 | 有(유): 있다 |
餘(여): 남다 | 慶(경): 경사 |
※어구(語句):
- 積善(적선): ❶착한 일을 많이 하다. 착한 일을 여러 번 하다. ②동냥질에 응하는 일을 좋게 표현한 말.
- 餘慶(여경): 다른 사람에게 좋은 일을 많이 한 보답으로 훗날 그 자손이 받는 경사(慶事).
*慶事(경사): 축하(祝賀)할 만한 기쁜 일.
※音(음)과 訓(훈):
명심보감(明心寶鑑) 계선편(繼善篇) 004
■易云.
■역운.
■역경(易經)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積善之家必有餘慶,
■적선지가필유여경,
■“착한 일을 많이 한 집안은 반드시 훗날 그 자손에게 경사(慶事)가 있으며,
■積不善之家必有餘殃.
■적불선지가필유여앙.
■나쁜 일을 많이 한 집안은 반드시 남에게 해로운 일을 많이 한 값으로 재앙(災殃)을 받는다.”
출전(出典):
- 역경(易經).
원문(原文):
積善之家,必有餘慶;積不善之家,必有餘殃。臣弒其君,子弒其父,非一朝一夕之故,其所由來者漸矣,由辯之不早辯也。《易》曰「履霜、堅冰至」,蓋言順也。
'명심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06. 一日不念善(일일불념선) 諸惡自皆起(제악자개기). (0) | 2019.07.22 |
---|---|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05. 勿以惡小而爲之(물이악소이위지) 勿以善小而不爲(물이선소이불위). (0) | 2019.07.21 |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03. 積善逢善(적선봉선) 積惡逢惡(적악봉악). (0) | 2019.07.19 |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02. 作善降之百祥(작선강지백상) 作不善降之百殃(작불선강지백앙). (0) | 2019.07.18 |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01. 爲善者(위선자) 天報之以福(천보지이복), 爲不善者(위불선자) 天報之以禍(천보지이화). (0) | 2019.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