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天理篇(천리편) 019. 獲罪於天(획죄어천) 無所禱也(무소도야).

獲罪於天 無所禱也.
획죄어천 무소도야.
하늘에 죄(罪)를 지으면 기원(祈願)할 곳이 없다.

 

 

 

獲(획): 얻다 罪(죄): 죄
於(어): ~에 天(천): 하늘
無(무): 없다 所(소): 곳
禱(도): 기도하다 也(야): ~이다

 

 

※어구(語句):
- 獲罪(획죄): 죄(罪)를 지음.
*祈願(기원): 바라는 일이 이루어지기를 빌다.
*祈禱(기도): 인간(人間)보다 능력(能力)이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어떠한 절대적(絶對的) 존재(存在)에게 빎.
*빌다: ❶바라는 바를 이루게 하여 달라고 신(神)이나 사람, 사물(事物) 따위에 간청(懇請)하다. ②잘못을 용서(容恕)하여 달라고 호소(呼訴)하다.
*天理(천리): ❶하늘의 바른 도리(道理). ②천지자연(天地自然)의 이치(理致). 자연(自然)의 법칙(法則).


※音(음)과 訓(훈):

 

 

명심보감(明心寶鑑) 천리편(天理篇) 019

 

■子曰.
■자왈.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獲罪於天 無所禱也.
■획죄어천 무소도야.
■“하늘에 죄(罪)를 지으면 기원(祈願)할 곳이 없다.”
(천리(天理)를 어기면 더 이상 기원(祈願)할 곳이 없다.)

 

 

 

 

 

 

참고(參考):
공자(孔子)가 위(衛)나라에 방문했을 때의 일입니다. 왕손가(王孫賈)는 공자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했습니다.

 

"집을 다스리는 성주신(神)에게 아첨(阿諂)하느니 차라리 부엌을 다스리는 조왕신(竈王神)에게 아첨하는 것이 낫다고 하였는데, 무슨 뜻이겠습니까?"

 

왕손가는 당시(當時) 권력(勸力)을 쥐고 있던 자기(自己)를 부엌을 다스리는 조왕신(竈王神)에 비유하고 영공을 집을 지키며 다스리는 성주신(神)에 비유하여, 영공보다는 자기에게 잘 보여야 함을 말한 것이었습니다.

 

이에 공자는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습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그 말은 틀린 말입니다. 그렇게 하는 것은 하늘에 죄(罪)를 짓는 것이며, 하늘에 죄를 지으면 더 이상 기원(祈願)할 곳이 없습니다.”

 

이 말은 천리(天理)을 어기고 무례(無禮)한 짓을 일삼던 왕손가를 꾸짖으며, 공자 자신(自身)은 천리를 어기지 않겠다는 신념(信念)을 밝힌 것이었습니다.

 

위의 내용이 실려 있는 원문(原文)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전(出典):
-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원문(原文):
王孫賈問曰:「與其媚於奧,寧媚於竈,何謂也?」子曰:「不然,獲罪於天,無所禱也。」

 

원문(原文) / 해석(解釋):

 

王孫賈問曰.
왕손가문왈.
왕손가(王孫賈)가 물었다.王孫賈(왕손가):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위(衛)나라 사람으로, 영공(靈公) 때 대부(大夫).

 

與其媚於奧 寧媚於竈 何謂也?
여기미어오 영미어조 하위야?
“성주신(神)에게 아첨(阿諂)하기 보다는 차라리 조왕신(竈王神)에게 아첨하는 것이 낫다는데, 무슨 뜻입니까?”

 

子曰.
자왈.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不然 獲罪於天 無所禱也.
불연 획죄어천 무소도야.
“그렇지 않습니다. 하늘에 죄를 지으면 기원(祈願)할 곳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