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070. 子路聞過則喜(자로문과즉희) 禹聞善言則拜(우문선언즉배).

子路聞過則喜 禹聞善言則拜.
자로문과즉희 우문선언즉배.
자로(子路)는 잘못을 들으면 기뻐하였고, 우(禹)임금은 교훈(敎訓)이 될 만한 좋은 말을 들으면 절하였다.
(자로(子路)는 다른 사람이 그에게 잘못이 있음을 알려주면 기뻐하였고, 우(禹)임금은 교훈(敎訓)이 될 만한 좋은 말을 들으면 절을 하며 경의(敬意)를 표(表)하였다.)

 

 

 

子(자): - 路(로): 도리
聞(문): 듣다 過(과): 잘못
則(즉): ~면 喜(희): 기뻐하다
禹(우): 우임금 聞(문): 듣다
善(선): 좋다 言(언): 말
則(즉): ~면 拜(배): 절하다

 

 

※어구(語句):
- 子路(자로): 중국(中國) 춘추시대(春秋時代) 노(魯)나라 사람으로, 공자(孔子)의 제자(弟子). 본명(本名)은 중유(仲由).
- 善言(선언): 좋은 말. 교훈(敎訓)이 될 만한 좋은 말. 유익(有益)한 말.

 

※음(音)과 훈(訓):

 

 

명심보감(明心寶鑑) 정기편(正己篇) 070

 

■子路聞過則喜,
■자로문과즉희,
■자로(子路)는 잘못을 들으면 기뻐하였고,
(자로(子路)는 다른 사람이 그에게 잘못이 있음을 알려주면 기뻐하였고,)

 

■禹聞善言則拜.
■우문선언즉배.
■우(禹)임금은 교훈(敎訓)이 될 만한 좋은 말을 들으면 절하였다.
(우(禹)임금은 교훈(敎訓)이 될 만한 좋은 말을 들으면 절을 하며 경의(敬意)를 표(表)하였다.)

 

출전(出典):
- 맹자(孟子) 공손추상편(公孫丑上篇)

 

원문(原文):
孟子曰:「子路,人告之以有過則喜。禹聞善言則拜。大舜有大焉,善與人同。舍己從人,樂取於人以為善。自耕、稼、陶、漁以至為帝,無非取於人者。取諸人以為善,是與人為善者也。故君子莫大乎與人為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