父兮生我 母兮鞠我. 부혜생아 모혜국아. 아버님께서는 나를 낳으시고, 어머님께서는 나를 기르셨다.
父(부): 아버지
兮(혜): -
生(생): 낳다
我(아): 나
母(모): 어머니
兮(혜): -
鞠(국): 기르다
我(아): 나
※어구(語句): -
※음(音)과 훈(訓):
<더보기> <접기>
父(부): ❶아버지. ②친족(親族)의 어른. ③늙으신네. ④관장(官長). ⑤창시자(創始者). ⑥나이 많은 남자(男子)에 대한 경칭(敬稱) (보). ⑦직업에 종사(종사)하는 사람의 총칭(總稱) (보).兮(혜): 문장(文章) 끝이나 중간(中間)에 쓰여 감탄(感歎)을 나타내거나 어기(語氣)를 부드럽게 함.生(생): ❶낳다. ②살다. ③나다. 생겨나다. 태어나다. ④기르다. ⑤백성(百姓). ⑥선비. ⑦자기(自己). ⑧사람. ⑨삶. ⑩날. 익지 안음. ⑪생소(生疏)하다. 낯설다. ⑫익숙하지 않다. 서툴다. 미숙(未熟)하다.我(아): ❶나. ②자기(自己). ③우리. ④외고집. ⑤아집을 부리다. ⑥굶주리다.母(모): ❶어머니. ②할머니. 나이 많은 여자(女子). ③어머니뻘의 여자(女子). ④암컷. ⑤모체(母體). ⑥근본(根本). ⑦유모(乳母). ⑧본전(本錢). 원금(元金). ⑨표준(標準). ⑩엄지손가락. ⑪기르다. ⑫본뜨다.兮(혜): 문장(文章) 끝이나 중간(中間)에 쓰여 감탄(感歎)을 나타내거나 어기(語氣)를 부드럽게 함.鞠(국): ❶기르다. ②사랑하다. ③알리다. ④어리다. ⑤고(告)하다. ⑥굽히다. ⑦국문(鞠問)하다. ⑧공. 가죽으로 만든 공. ⑨국화(菊花).我(아): ❶나. ②자기(自己). ③우리. ④외고집. ⑤아집을 부리다. ⑥굶주리다.
<접기>
명심보감(明心寶鑑) 효행편(孝行篇) 001
■詩云. ■시운. ■시경(詩經)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더보기> <접기>
詩經(시경): 유교(儒敎)의 기본 경전인 사서오경(四書五經)중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사서오경(四書五經):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 / 시경(詩經), 서경(書經)(상서(尚書)), 역경(易經)(주역(周易)), 예기(禮記), 춘추(春秋).云(운): ❶이르다. 일컫다. ②말하다. ③이와 같다. ④다다르다. ⑤도착(到着)하다. ⑥돌아가다. ⑦운행(運行)하다. ⑧있다. ⑨운운(云云). 등등(等等). ⑩구름. ⑪하늘. ⑫은하수(銀河水). / 책명(冊名) 또는 편명(篇名) 등의 뒤에 사용될 경우에는 ~에 이르기를 ~라 하였다. ~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에 쓰여 있다. 등으로 해석함.
<접기>
■父兮生我 母兮鞠我. ■부혜생아 모혜국아. ■“아버님께서는 나를 낳으셨고, 어머님께서는 나를 기르셨네.
<더보기> <접기>
兮(혜): 문장(文章) 끝이나 중간(中間)에 쓰여 감탄(感歎)을 나타내거나 어기(語氣)를 부드럽게 함.鞠(국): ❶기르다. ②사랑하다. ③알리다. ④어리다. ⑤고(告)하다. ⑥굽히다. ⑦국문(鞠問)하다. ⑧공. 가죽으로 만든 공. ⑨국화(菊花).
<접기>
■哀哀父母 生我劬勞. ■애애부모 생아구로. ■부모님 생각에 슬프고 가슴이 아프도다, 나를 낳으시고 기르시느라 고생(苦生)만 하셨구나.
<더보기> <접기>
哀哀(애애): 매우 슬픔. 구슬픔. 서글픔. 슬프고 가슴이 아픔. 애통(哀痛)함.劬勞(구로): ❶자식(子息)을 낳아 기르느라 힘을 들이고 애를 씀. ②병(病)으로 고생(苦生)함.
<접기>
■欲報深恩 昊天罔極. ■욕보심은 호천망극. ■깊은 은혜를 갚고자 하지만, 하늘처럼 넓고 커서 갚을 길이 없구나.”
<더보기> <접기>
昊天罔極(호천망극): 하늘이 넓고 커서 끝이 없음. 부모(父母)의 은혜(恩惠)가 하늘처럼 넓고 커서 갚을 길이 없음을 비유하는 말.
<접기>
요약(要約): 위의 내용은 시경(詩經)에 실려 있는 육아(蓼莪)라는 시(詩)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원문(原文)은 여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습니다.
원문(原文) / 해석(解釋):
1)蓼蓼者莪 匪莪伊蒿. 육육자아 비아이호. 커다랗게 자란 것이 귀한 참쑥인가 했더니, 귀한 참쑥이 아니고 흔하디 흔한 사철쑥이네. (부모님께서는 귀하게 자라 훌륭한 인물이 되기를 바라셨으나, 평범한 인물이 되었음을 자책(自責)하는 내용의 글.)
<더보기> <접기>
蓼(륙): 蓼(육): ❶크다. ②길고 큰 모양(模樣). ③장성(長成)한 모양(模樣). ④여뀌 (료). ⑤뒤져서 찾다 (노)(로). ⑥서로 끌어당기다 (류)(유).莪(아): ❶쑥(국화과(菊花科)의 여러해살이풀. 참쑥. ②지칭개(국화과(菊花科)의 두해살이풀). ③약초(藥草)의 이름.匪(비): ❶아니다. ②문채(文彩)나다. ③담다. ④넣다. ⑤비적(匪賊). 떼지어 다니는 도적(盜賊). ⑥대나무 상자(箱子). ⑦문채(文彩). 아름다운 광채(光彩). ⑧채색(彩色). ⑨나누다 (분).蒿(호): ❶쑥(국화과(菊花科)의 여러해살이풀. 사철쑥. ②묘지(墓地). ③땅의 이름. ④김이 오르다. ⑤향기(香氣)가 나다. ⑥어지러워지다. 흐트러지다. ⑦지치다. 소모(消耗)하다. ⑧짚 (고).
<접기>
哀哀父母 生我劬勞. 애애부모 생아구로. 부모님 생각에 슬프고 가슴이 아프도다, 나를 낳으시고 기르시느라 고생만 하셨구나.
<더보기> <접기>
哀哀(애애): 매우 슬픔. 구슬픔. 서글픔. 슬프고 가슴이 아픔. 애통(哀痛)함.劬勞(구로): ❶자식(子息)을 낳아 기르느라 힘을 들이고 애를 씀. ②병(病)으로 고생(苦生)함.
<접기>
2)蓼蓼者莪 匪莪伊蔚. 육육자아 비아이위. 커다랗게 자란 것이 귀한 참쑥인가 했더니, 귀한 참쑥이 아니고 흔하디 흔한 제비쑥이네.
<더보기> <접기>
蔚(위): ❶제비쑥. 국화과(菊花科)의 여러해살이풀). ②숲. ③무늬. ④구름이 이는 모양(模樣). ⑤성(盛)하다. ⑥빽빽하다. 무성(茂盛)하다. ⑦아름답다. ⑧화려(華麗)하다. ⑨구름이 끼다. ⑩모으다. ⑪병(病)들다. ⑫고을의 이름 (울). ⑬답답하다. 번민(煩悶)하다 (울).
<접기>
哀哀父母 生我勞瘁. 애애부모 생아로췌. 부모님 생각에 슬프고 가슴이 아프도다, 나를 기르시느라 지치고 힘들어 몸이 마르고 핼쑥해지셨구나.
<더보기> <접기>
勞瘁(노췌): 몹시 지치고 고달파서 파리함. 지치고 힘들어서 몸이 마르고 핼쑥함.
<접기>
3)缾之罊矣 維罍之恥. 병지계의 유뢰지치. 술을 담는 그릇이 비어 있음은 술독의 수치(羞恥)요. (부모님께서는 자식의 부족함을 자신의 탓으로 여기시네. ) (술을 담는 그릇(작은 술병)은 자식을, 술독은 부모를 비유한 말로, 부모님은 자식의 부족함을 부모의 부끄러움으로 여긴다는 뜻.) (술잔에 술이 채워지지 못함은 술독의 수치, 즉 자식의 부족함이나 잘못은 부모의 부끄러움이며, 술을 다 내어준 빈 술독처럼 부모님께서 어려워 지심은 자식의 탓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접기>
缾(병): ❶두레박. ②단지. 목이 짧고 배가 부른 작은 항아리. ③물 장군. 배가 불룩하고 목 좁은 아가리가 있는 질그릇. ④술을 담는 그릇.罊(계): 그릇 속이 비다.維(유): ❶생각하다. ②유지(維持)하다. ③매다. ④오직. ⑤벼리. ⑥바. 밧줄. ⑦구석.罍(뢰): ❶술독. 열 말 들이 술독. ②대야. 세숫대야. ③술 그릇 (루). ④대야. 세숫대야 (루).
<접기>
鮮民之生 不如死之久矣. 선민지생 불여사지구의. 가난하고 부모가 없는 외로운 사람의 삶은 죽느니만 못한지 오래이다. (부모님께서 살아 계시지 않은 삶은 일찍 죽느니만 못하구나.)
<더보기> <접기>
鮮民(선민): 가난하고 부모(父母)가 없는 외로운 사람. 가난하고 외로운 사람.不如(불여): ❶~만 못하다. ~하는 것만 못하다. ②~하는 편이 낫다. ~하는 것이 낫다.
<접기>
無父何怙 無母何恃. 무부하호 무모하시. 아버님께서 계시지 않으니 무엇을 믿겠는가? 어머님께서 계시지 않으니 무엇을 의지하겠는가?
<더보기> <접기>
怙(호): ❶믿다. 의지(依支)하다. ②아버지.恃(시): ❶믿다. 의지(依支)하다. ②의뢰(依賴)하다. ③자부(自負)하다. ④어머니.怙恃(호시): ‘믿고 의지하다’, ‘기대다’, ‘자식(子息)이 믿고 의지하다’라는 뜻에서, 부모(父母)를 비유하여 사용되는 말.
<접기>
出則銜恤 入則靡至. 출즉함휼 입즉미지. 나가면 근심을 마음에 품게 되고, 들어와도 이를 곳이 없네. (부모님께서 살아 계시지 않으니 밖에 나가면 근심만 쌓이고, 집에 들어와도 편히 쉴 곳이 없다는 뜻.)
<더보기> <접기>
銜(함): ❶느끼다. ②마음에 품다. ③원망하다. ④재갈. ⑤직함.
恤(휼): ❶근심하다. ②불쌍하다. ③사랑하다. 친애하다.靡(미): ❶없다. ②쓰러지다. 넘어지다. 엎어지다.
<접기>
4)父兮生我 母兮鞠我. 부혜생아 모혜국아. 아버님께서는 나를 낳으셨고, 어머님께서는 나를 기르셨도다.
拊我畜我 長我育我. 부아축아 장아육아. 나를 사랑하시고 나를 보살펴서 자라게 하셨으며, 나를 키우시고 나를 길러 주셨네.
<더보기> <접기>
拊(부): ❶사랑하다. 어루만지다. ② (악기를) 타다.畜(축): ❶기르다. 양육하다. 아이를 보살펴서 자라게 하다. ②짐승. 가축.長(장): ❶자라다. ②어른. 우두머리.育(육): ❶기르다. 자라다. ②낳다.
<접기>
顧我復我 出入腹我. 고아복아 출입복아. 나를 돌봐주시고 나를 채워 주셨으며, 나갈 때나 들어올 때나 나를 품에 안아 주셨네.
<더보기> <접기>
顧(고): ❶돌보다. ②돌아보다.復(복): ❶채우다. 보충하다. ②회복하다. ③다시 (부). ④거듭. 거듭하여 (부).
<접기>
欲報之德 昊天罔極. 욕보지덕 호천망극. 그 덕(德)을 갚고자 하나 하늘처럼 넓고 커서 갚을 길이 없구나.
<더보기> <접기>
昊天罔極(호천망극): 하늘이 넓고 커서 끝이 없음. 부모(父母)의 은혜가 하늘처럼 넓고 커서 갚을 길이 없음을 비유하는 말.
<접기>
5)南山烈烈 飄風發發. 남산열렬 표풍발발. 남산(南山)의 산세(山勢)가 험하여 회오리바람이 세차네.
<더보기> <접기>
山勢(산세): 산(山)의 모양(模樣). 산(山)의 생긴 형세(形勢).烈烈(열렬): ❶기세(氣勢)/기백(氣魄)/추위 등이 매서운 모양(模樣). ②어떤 것에 대한 태도(態度)가 매우 맹렬(猛烈)함.飄風(표풍): ❶회오리바람. ②바람에 나부낌.
<접기>
民莫不穀 我獨何害. 민막불곡 아독하해. 사람들은 모두 즐거워하거늘, 나만 홀로 어찌 마음이 아픈 것인가?
<더보기> <접기>
莫不(막불): ~하지 않는 것이 없다. 모두 ~하다.
<접기>
6)南山律律 飄風弗弗. 남산율률 표풍불불. 남산(南山)의 산세(山勢)가 험하여 회오리바람이 세차네.
<더보기> <접기>
律律(율률): 烈烈(열렬)의 뜻.弗弗(불불): 크게 일어나는 모양(模樣). 發發(발발)의 뜻.
<접기>
民莫不穀 我獨不卒. 민막불곡 아독부졸. 사람들은 모두 즐거워하거늘, 나만 홀로 (부모님 봉양을) 다하지 못하였구나.
출전(出典): - 시경(詩經) 소아(小雅) 소민지십(小旻之什) 육아(蓼莪)
원문(原文):
蓼蓼者莪、匪莪伊蒿。 哀哀父母、生我劬勞。
蓼蓼者莪、匪莪伊蔚。 哀哀父母、生我勞瘁。
缾之罊矣、維罍之恥。 鮮民之生、不如死之久矣。 無父何怙、無母何恃。 出則銜恤、入則靡至。
父兮生我、母兮鞠我。 拊我畜我、長我育我。 顧我復我、出入腹我。 欲報之德、昊天罔極。
南山烈烈、飄風發發。 民莫不穀、我獨何害。
南山律律、飄風弗弗。 民莫不穀、我獨不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