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34. 一日行善(일일행선) 福雖未至(복수미지) 禍自遠矣(화자원의).

一日行善 福雖未至 禍自遠矣.
일일행선 복수미지 화자원의.
하루 선(善)을 행(行)하면, 복(福)이 비록 이르지 못하였더라도, 재앙(災殃)은 저절로 멀어진다.

 

 

 

一(일): 하나 日(일): 날
行(행): 행하다 善(선): 선
福(복): 복 雖(수): 비록
未(미): 못하다 至(지): 이르다
禍(화): 재앙 自(자): 저절로
遠(원): 멀어지다 矣(의): ~이다

 

 

※어구(語句):
- 一日(일일): 하루.
- 行善(행선): ❶착한 일을 함. 좋은 일을 함. 선행(선행)을 함. 자비심(慈悲心)을 베풂. ②악(惡)한 일을 하지 아니하는데 그치지 아니하고 적극적(積極的)으로 행(行)하는 선(善).

 

※音(음)과 訓(훈):

 

 

명심보감(明心寶鑑) 계선편(繼善篇) 034

 

■東嶽聖帝垂訓.
■동악성제수훈.
■동악성제(東嶽聖帝)가 후세(後世)에 전하는 교훈(敎訓).

 

■天地無私 神明暗察.
■천지무사 신명암찰.
■“천지(天地)는 사사로움이 없으며, 신명(神明)은 남몰래 살핀다.
(하늘과 땅의 신(神)들은 사사로운 정에 이끌려 재앙(災殃)과 복(福)을 내리지 않으며, 선행(善行)과 악행(惡行)을 남몰래 살핀다.)

 

■不爲享祭而降福 不為失禮而降禍.
■불위향제이강복 불위실례이강화.
■(복을 내릴 사람에게는) 제사를 지내지 아니하여도 복(福)을 내리고, (재앙을 내릴 사람에게는) 예의에 벗어난 행동을 하지 아니하여도 화(禍)를 내린다.

 

■凡人有勢不可倚盡 有福不可享盡 貧困不可欺盡.
■범인유세불가의진 유복불가향진 빈곤불가기진.
■무릇 사람은 세력이 있더라도 의지하기만 해서는 아니되며, 복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누리기만 해서는 아니되며, 가난하고 궁색(窮塞)하여 살기 어렵다고 하더라도 속이기만 해서는 아니된다.

 

■此三者乃天地循環 周而複始.
■차삼자내천지순환 주이복시.
■(신분의 귀함과 천함, 재앙과 복, 가난함과 부유함) 이 세 가지는 천지(天地)의 순환(循環)이며, 돌고 나면 다시 시작(始作)한다.

 

■故一日行善 福雖未至 禍自遠矣.
■고일일행선 복수미지 화자원의.
■그러므로 하루 선(善)을 행하면, 복이 비록 이르지 못하였더라도 재앙은 저절로 멀어진다.

 

■一日行惡 禍雖未至 福自遠矣.
■일일행악 화수미지 복자원의.
■하루 악(惡)을 행하면, 재앙이 비록 이르지 아니하였더라도 복은 저절로 멀어진다.

 

■行善之人 如春園之草 不見其長而日有所增.
■행선지인 여춘원지초 불견기장이일유소증.
■착한 일을 하는 사람은 봄 동산의 풀과 같아서, 풀이 자라는 것은 보이지 않지만 나날이 늘어나는 것이 있다.

 

■行惡之人 如磨刀之石 不見其損而日有所虧.
■행악지인 여마도지석 불견기손이일유소휴.
■나쁜 일을 하는 사람은 칼을 가는 돌과 같아서, 돌이 줄어드는 것은 보이지 않지만 나날이 줄어드는 것이 있다.

 

■損人安己 切宜戒之.
■손인안기 절의계지.
■다른 사람을 상하게 하며 자기를 편안하게 하였는지, 간절(懇切)히 조심하고 주의(注意)해야 함이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