不孝有三 無後爲大.
불효유삼 무후위대.
불효(不孝)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대(代)를 이어갈 자손(子孫)이 없는 것이 크다.
(불효(不孝)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세 가지 중(中)에 대(代)를 이어갈 자손(子孫)이 없는 것이 가장 크다.)
不(불): 못하다 |
孝(효): 효도하다 |
有(유): 있다 |
三(삼): 셋 |
無(무): 없다 |
後(후): 자손 |
爲(위): ~이다 |
大(대): 크다 |
※어구(語句):
- 不孝(불효): 부모(父母)를 정성(精誠)껏 잘 섬기지 아니하여 자식(子息)된 도리(道理)를 하지 못함. 효성(孝誠)스럽지 아니함.
- 無後(무후): 대(代)를 이어갈 자손(子孫)이 없음. 대(代)가 끊어짐.
※음(音)과 훈(訓):
不(불): ❶못하다. ②아니다. ③아니하다. ④없다. ⑤말다. ~하지 마라.
孝(효): ❶효도(孝道)하다. 부모(父母)를 섬기다. ②제사(祭祀) 지내다. ③상복(喪服)을 입다. 거상(居喪)하다. ④효도(孝道). ⑤제사(祭祀). ⑥맏. 맏자식. ⑦상복(喪服).
有(유): ❶있다. ②가지다. 소지(所持)하다. ③많다. 넉넉하다. ④존재(存在)하다. ⑤생기다. 나타나다. 발생(發生)하다. ⑥친(親)하게 지내다. ⑦소유(所有). ⑧혹은. 또는. ⑨어떤.
三(삼): ❶셋. ②자주. ③재삼(再三). 여러 번. 몇 번이고.
無(무): ❶없다. ②아니다. 비(非)의 뜻. ③아니하다. 不(불)의 뜻. ④말다. 금지(禁止)하다. ~하지 마라. ⑤무시(無視)하다. 업신여기다. ⑥따지지 아니하다. ⑦~를 막론(莫論)하고.
後(후): ❶후대(後代). 자손(子孫). 자식(子息). 후계자(後繼者). ②뒤. ③곁. ④딸림. ⑤아랫사람. ⑥임금. ⑦왕후(王后). 후비(后妃). ⑧신령(神靈). ⑨뒤지다. ⑩뒤떨어지다. ⑪뒤서다. ⑫늦다. ⑬뒤로 미루다. ⑭뒤로 돌리다. ⑮뒤로 하다.
爲(위): ❶~이다. ~은/이 ~이다. ②하다. 행(行)하다. 만들다. ③위하다. ④다스리다. ⑤되다. 이루어지다. ⑥여기다. 생각하다. ⑦삼다. ⑧배우다. ⑨가장(假裝)하다. 태도(態度)를 거짓으로 꾸미다. ⑩속하다. ⑪있다. ⑫돕다. ⑬행위(行爲). ⑭~에게. ⑮~을 위하여. ⑯~을 하기 위하여. ⑰~에 대해서. ⑱~을 향(向)하여. ⑲~때문에. ~까닭으로.
大(대): ❶크다. ②크게 하다. ③많다. 수효(數爻)가 많다. ④세다. ⑤중요(重要)하다. 주요(主要)하다. ⑥중(重)히 여기다. 중요시(重要視)하다. ⑦높다. 존귀(尊貴)하다. ⑧훌륭하다. 뛰어나다. ⑨낫다. ⑩심(甚)하다. 정도(程度)가 지나치다. ⑪지나다. 일정(一定)한 정도(程度)를 넘다. ⑫자랑하다. 뽐내다. 교만(驕慢)하다. ⑬늙다. 나이를 먹다. ⑭거칠다. 성기다. ⑮하늘. ⑯크기. ⑰첫째. 맏이. ⑱어른. ⑲대략(大略). 대강(大綱). ⑳크게. 성(盛)하게. 아주. 매우. 몹시. 대단히. 완전(完全)히. 철저(徹底)히. ㉑그다지. 그리. ㉒존경(尊敬)하거나 찬미(讚美)할 때 쓰는 말. ㉓크다 (태). ㉔크다 (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C1043C5AAF3BA112)
명심보감(明心寶鑑) 효행편(孝行篇) 015
■孟子曰.
■맹자왈.
■맹자(孟子)가 말하였다.
孟子(맹자):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유교(儒敎) 사상가(思想家)로, 본명(本名)은 맹가(孟軻), 자(字)는 자여(子與) 또는 자거(子車). 인간(人間)의 본성(本性)은 선(善)하다는 성선설(性善說)을 주장(主張)함.
*性善說(성선설): 맹자(孟子)가 주장(主張)한 학설(學說). 인간(人間)의 본성(本性)은 선(善)하지만, 주위(周圍) 환경(環境)이나 욕심(欲心)의 영향(影響)으로 악(惡)하게 된다는 학설.
*性惡說(성악설): 순자(荀子)가 주장(主張)한 학설(學說). 인간(人間)의 본성(本性)은 악(惡)하므로, 학습(學習)을 통(通)하여 선(善)한 행위(行爲)를 습득(習得)해야 한다는 학설.
■不孝有三 無後爲大.
■불효유삼 무후위대.
■“불효(不孝)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대(代)를 이어갈 자손(子孫)이 없는 것이 크다.”
(불효(不孝)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세 가지 중(中)에 대(代)를 이어갈 자손(子孫)이 없는 것이 가장 크다.)
不孝(불효): 부모(父母)를 정성(精誠)껏 잘 섬기지 아니하여 자식(子息)된 도리(道理)를 하지 못함. 효성(孝誠)스럽지 아니함.
無後(무후): 대(代)를 이어갈 자손(子孫)이 없음. 대(代)가 끊어짐.
출전(出典):
- 맹자(孟子) 이루편(離婁篇) 상(上)
원문(原文):
孟子曰:「不孝有三,無後為大。舜不告而娶,為無後也,君子以為猶告也。」
원문(原文) / 해석(解釋):
孟子曰.
맹자왈.
맹자(孟子)가 말하였다.
不孝有三 無後爲大.
불효유삼 무후위대.
불효(不孝)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대(代)를 이어갈 자손(子孫)이 없는 것이 가장 크다.
舜不告而娶 爲無後也 君子以爲猶告也.
순불고이취 위무후야 군자이위유고야.
순(舜)임금이 아뢰지 아니하고 장가간 것은, 대를 이어갈 자손이 없었기 때문이며, 군자(君子)는 아뢴 것과 같다고 여긴다.
舜(순): ❶순(舜)임금. ②무궁화(無窮花). 목근(木槿). ③나팔꽃. ④뛰어나다.
不告(불고): 알리지 아니함.
娶(취): ❶장가들다. 장가가다. 아내를 맞다. 아내를 얻다. ②중매들다 (서).
君子(군자): ❶학식(學識)과 덕행(德行)이 뛰어난 사람. ↔ 小人(소인). ②높은 관직(官職)에 있는 사람. 지위(地位)가 높은 사람. ③아내가 남편(男便)을 높여 일컫는 말.
*小人(소인): ❶간사(奸邪)하고 도량(度量)이 좁은 사람. ↔ 君子(군자). ②나이가 어린 사람. ③키나 몸집 등이 작은 사람.
以爲(이위): ~으로 여기다. ~으로 생각하다. ~으로 간주(看做)하다. ~으로 알다. ~으로 인정(認定)하다.
猶(유): ❶같다. 똑같다. ②꾀하다. ③망설이다. 머뭇거리다. ④말미암다. ⑤그림을 그리다. ⑥오히려. ⑦가히. ⑧다만. ⑨이미. ⑩크게. 지나치게. ⑪~부터. ⑫그대로. ⑬마땅히. ⑭원숭이. ⑮태연(泰然)한 모양(模樣). ⑯허물. 잘못. ⑰움직이다 (요). ⑱흔들리다 (요).
참고(參考):
- 맹자(孟子)의 어머니와 관련 있는 고사성어(故事成語)
1) 斷機之敎(단기지교): ‘베를 끊은 가르침’, ‘끊긴 베의 교훈’이라는 뜻으로, 학문을 중도에 포기하면 아무런 쓸모가 없음을 뜻하는 말. (고사성어 ‘단기지교’편 참고).
2)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 ‘맹자의 어머니가 자식의 교육을 위하여 세 번 이사를 한 가르침’이라는 뜻으로, 교육은 주위의 환경이 중요하다는 뜻. (고사성어 ‘맹모삼천지교’편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