淡薄方好 不要有富貴相. 담박방호 불요유부귀상. 욕심(欲心)이 적고 마음이 깨끗해야 비로소 훌륭하고, 재산(財産)이 많고 지위(地位)가 높은 모습이 있을 필요(必要)가 없다. (욕심(欲心)이 적고 마음이 깨끗해야 비로소 훌륭해 질 수 있고, 많은 재산(財産)과 높은 지위(地位)는 필요(必要)치 않다.)
淡(담): 담담하다
薄(박): 적다
方(방): 비로소
好(호): 훌륭하다
不(불): 아니하다
要(요): 필요하다
有(유): 있다
富(부): 부유하다
貴(귀): 지위가 높다
相(상): 모습
※어구(語句): 淡薄(담박): ❶감정(感情)/흥미(興味) 따위가 담담(淡淡)하다/시들하다/적다/식다. / 여기에서는 ‘담백(淡白)하다’, ‘욕심(欲心)이 적고 마음이 깨끗하다’의 뜻으로 해석(解釋)함. ②구름/안개 따위가 옅다. 희박(稀薄)하다. ③인상(印象)/관념(觀念) 따위가 희미(稀微)하다/어렴풋하다. ④맛이 싱겁다/약(弱)하다. 不要(불요): ❶싫다. 바라지 않다. 필요(必要)가 없다. 필요(必要)치 않다. 필요(必要)하지 아니하다. ②~하지 마라. ~해서는 안 된다. ③받지 않다. 갖지 않다. ④쓸데 없음. 필요(必要)하지 않음. 불필요(不必要). 富貴(부귀): 재산(財産)이 많고 지위(地位)가 높음. 재산(財産)이 넉넉하고 지위(地位)가 높음.
胡文定公(호문정공): 중국(中國) 송(宋, 北宋(북송))나라의 관리(官吏)이자 경학자(經學者). 호적(胡迪)이라고도 하며, 자(字)는 강후(康侯), 호(號)는 청산(青山) 또는 무이선생(武夷先生), 문정(文定)은 그의 시호(諡號). 평생 동안 춘추(春秋)를 연구(硏究)하였으며, 저서(著書)로는 춘추전(春秋傳)이 있음. *經學者(경학자): 사서오경(四書五經)을 연구하는 학자(學者). *四書五經(사서오경):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 / 시경(詩經), 서경(書經)(상서(尚書)), 역경(易經)(주역(周易)), 예기(禮記), 춘추(春秋).
■人須是一切世味 淡薄方好 不要有富貴相. ■인수시일체세미 담박방호 불요유부귀상. ■ 1) 사람은 모름지기 온갖 세상(世上)의 맛을 다스려야 하며, 욕심(欲心)이 적고 마음이 깨끗해야 비로소 훌륭하고, 재산(財産)이 많고 지위(地位)가 높은 모습이 있을 필요(必要)가 없다. (사람이란 모름지기 온갖 세상(世上)의 일을 겪어봐야 하며, 욕심(欲心)이 적고 마음이 깨끗해야 비로소 훌륭해 질 수 있고, 많은 재산(財産)과 높은 지위(地位)는 필요(必要)치 않다.) ■ 2) 사람은 모름지기 온갖 세상(世上)의 일에 욕심(欲心)이 적고 마음이 깨끗해야 비로소 훌륭하며, 재산(財産)이 많고 지위(地位)가 높은 모습이 있을 필요(必要)가 없다. (사람이란 모름지기 온갖 세상(世上)의 일에 욕심(欲心)이 적고 마음이 깨끗해야 비로소 훌륭하며, 많은 재산(財産)과 높은 지위(地位)는 필요(必要)치 않다.)
須(수): ❶~해야 한다. 마땅히/모름지기/반드시/당연(當然)히 ~해야 한다/~할 필요(必要)가 있다. ②필요하다. ③기다리다. ④모름지기. 사리(事理)를 따져 보건대 마땅히. ⑤반드시. 틀림없이. ⑥드디어. 마침내. 끝내. 결국(結局). ⑦잠깐. ⑧본래(本來). 원래(元來). ⑨수염. ⑩성(姓)의 하나. 是(시): ❶다스리다. ②바로잡다. ③바르게 하다. ④옳다. 바르다. ⑤옳다고 인정하다. 옳다고 여기다. ⑥~라 할 수 있다. ~로 칠 수 있다. ⑦이. 이것. ⑧~이다. ⑨여기. ⑩이에. 一切(일체): ❶모든. 온갖. ②모든 것. 온갖 것. ③전부(全部). 완전(完全)히. 모두. / ‘일절(一切)’은 부인(否認)하거나 금지(禁止)할 때 사용하며. ‘일체(一切)’는 전부(全部)를 나타낼 때 사용. 世味(세미): ❶세상(世上)의 맛. 세상(世上)의 쓰고 단 맛. 세상(世上)의 인정(人情). 세상(世上)의 일. 사람이 세상(世上)을 살아가며 겪는 온갖 경험(經驗)을 비유(比喩)하는 말. ②공명(功名)을 이루어 관직(官職)에 오르고 싶은 마음. 淡(담): ❶담담(淡淡)하다. 감정(感情)/취미(趣味)/인상(印象)/관계(關係) 따위가 깊지 않다. ②맑다. ③묽다. ④색(色)이 엷다. 빛깔이 엷다. ⑤액체(液體)나 기체(氣體) 중에 포함(包含)된 어떤 성분(成分)이 적다/엷다/희박(稀薄)하다. ⑥맛이 싱겁다. 맛이 약(弱)하다. 담백(淡白)하다. ⑦쓸데 없다. 내용(內容)이 적다. 무의미(無意味)하다. 별(別)로 중요(重要)하지 않다. ⑧쌀쌀하다. 냉담(冷淡)하다. 성의(誠意)가 없다. ⑨장사 따위가 불경기(不景氣)이다/부진(不振)하다. 흥성(興盛)하지 못하다. ⑩거친 음식(飮食). ⑪맛없는 음식(飮食). ⑫성(姓)의 하나. ⑬질펀히 흐르다 (염). ⑭어렴풋하다 (염). ⑮물이 감도는 모양(模樣) (염). ⑯그림자가 희미(稀微)한 모양(模樣) (염). 薄(박): ❶적다. ②엷다. 얇다. ③야박(野薄)하다. 박정(薄情)하다. ④싱겁다. 묽다. 진하지 않다. ⑤맛없다. ⑥보잘것없다. ⑦깔보다. 업신여기다. ⑧땅이 메마르다. 척박(瘠薄)하다. ⑨가까워지다. ⑩숲. ⑪대그릇. ⑫동자(童子)기둥 (벽). ⑬두공(枓栱) (벽). ⑭풀의 이름 (보). ⑮박하(薄荷) (보). 淡薄(담박): ❶감정(感情)/흥미(興味) 따위가 담담(淡淡)하다/시들하다/적다/식다. / 여기에서는 ‘담백(淡白)하다’, ‘욕심(欲心)이 적고 마음이 깨끗하다’의 뜻으로 해석(解釋)함. ②구름/안개 따위가 옅다. 희박(稀薄)하다. ③인상(印象)/관념(觀念) 따위가 희미(稀微)하다/어렴풋하다. ④맛이 싱겁다/약(弱)하다. 方(방): ❶비로소. 그제야. 마침내. 겨우. ②바야흐로. 지금 한창. ③장차(將次). 앞으로. ④이제. 막. 방금. 갓. ⑤모. 네모. ⑥방위(方位). 방향(方向). ⑦나라. 국가(國家). ⑧곳. 장소(場所). ⑨도리(道理). 의리(義理). ⑩방법(方法). 수단(手段). ⑪술법(術法). 방술(方術). ⑫처방(處方). 약방문(藥方文). ⑬법(法). 법도(法度). 규정(規定). ⑭쪽. 상대방(相對方). ⑮목판(木板). ⑯둘레. ⑰두루. 널리. ⑱모두. 함께. ⑲성(姓)의 하나. ⑳본뜨다. 모방(模倣)하다. ㉑네모지다. ㉒바르다. 정직(正直)하다. ㉓견주다. 비교(比較)하다. ㉔대등(對等)하다. 동등(同等)하다. ㉕나란히 하다. ㉖떳떳하다. ㉗패다. 이삭이 패다. ㉘차지하다. ㉙헐뜯다. ㉚거스르다. 거역(拒逆)하다. 好(호): ❶좋다. 훌륭하다. 선량(善良)하다. 능숙(能熟)하다. ②사이가 좋다. 친근(親近)하다. 우호적(友好的)이다. 화목(和睦)하다. ③안녕(安寧)하다. 건강(健康)하다. 성하다. 병(病)이 다 낫다/나아지다/좋아지다. ④아름답다. ⑤좋아하다. ⑥사랑하다. ⑦쉽다. 용이(容易)하다. ~하기가 쉽다/용이(容易)하다. ⑧~하기가/~하기에 편(便)하다/편리(便利)하다. ⑨우의(友誼). 정분(情分). 교분(交分). 친선(親善)의 정(情). ⑩구멍. ⑪그래. 좋아. 됐다. 자. / 찬성(贊成), 동의(同意), 제지(制止), 종결(終結) 따위의 어감(語感)을 표시(表示). ⑫잘 됐군. 좋아. /불만(不滿)을 표시(表示). ⑬잘. 안녕(安寧)히. ⑭곧잘. 자주. 걸핏하면. ⑮아주. 정말로. 참말로. 퍽. 꽤. 매우. 상당(相當)히. 몹시. ⑯얼마나. 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끔. 不要(불요): ❶싫다. 바라지 않다. 필요(必要)가 없다. 필요(必要)치 않다. 필요(必要)하지 아니하다. ②~하지 마라. ~해서는 안 된다. ③받지 않다. 갖지 않다. ④쓸데 없음. 필요(必要)하지 않음. 불필요(不必要). 富貴(부귀): 재산(財産)이 많고 지위(地位)가 높음. 재산(財産)이 넉넉하고 지위(地位)가 높음. 相(상): ❶모습. 모양(模樣). 형상(形象). 외모(外貌). 용모(容貌). 생김새. 몰골. ②서로. ③바탕. ④도움. ⑤거들어 주는 사람. 보조자(補助者). 시중드는 사람. 접대원(接待員). ⑥담당자(擔當者). ⑦정승(政丞). 재상(宰相). 대신(大臣). ⑧태도(態度). ⑨방아타령. ⑩악기(樂器)의 이름. ⑪자세(仔細)히 보다. ⑫돕다. ⑬다스리다. ⑭가리다. 고르다. ⑮따르다. ⑯이끌다. ⑰점(占)치다. ⑱생각하다. ⑲빌다. 기원(祈願)하다 (양). ⑳푸닥거리하다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