過而不改 是謂過矣. 과이불개 시위과의. 잘못을 저질렀는데도 바로잡지 않는 것, 이를 잘못이라 한다. (잘못을 저질렀는데도 바로잡지 않는 것을 잘못이라 한다.)
過(과): 잘못(을 저지르다)
而(이): 그런데도
不(불): 아니하다
改(개): 바로잡다
是(시): 이것
謂(위): ~라고 하다
過(과): 잘못
矣(의): ~이다
※어구(語句): -
※음(音)과 훈(訓):
<더보기> <접기>
過(과): ❶허물. 잘못. / 여기에서는 ‘잘못을 저지르다’의 뜻으로 해석(解釋)함. ②낫다. 넘다. 우월(優越)하다. 초과(超過)하다. ③지나다. ④지나는 길에 들르다. ⑤경과(經過)하다. (시간(時間)이 지나가다. / 어떤 단계(段階)나 시기(時機), 장소(場所)를 거치다.) ⑥왕래(往來)하다. 교제(交際)하다. ⑦지나치다. ⑧분수(分數)에 넘치다. ⑨넘다. ⑩나무라다. ⑪보다. 돌이켜 보다. ⑫재앙(災殃) (화).而(이): ❶그러나. 그런데도. ~지만. ~면서. [역접(逆接)을 나타냄] ②그리고. ~(하)고(도). [순접(順接)을 나타냄] ③~하면서. ④~로서. ~에. ⑤같다. ⑥그대. 자네. 너. ⑦뿐. 따름. ⑧만약(萬若). 만일(萬一). ⑨말을 잇다.不(불): ❶아니하다. ②못하다. ③아니다. ④없다. ⑤말다. ~하지 마라.改(개): ❶(잘못된 일이나 마음을) 바로잡다. 교정(矯正)하다. ②(틀린 것을) 고치다. 바로잡다. 정정(訂正)하다. 수정(修正)하다. ③고쳐지다. ④바꾸다. 변경(變更)하다. 변개(變改)하다. ⑤바뀌다. 달라지다. 변(變)하다. 변모(變貌)하다. ⑥만들다. ⑦개혁(改革)하다. ⑧개혁(改革). ⑨성(姓)의 하나. ⑩다시. ⑪따로. ⑫새삼스럽게.是(시): ❶이. 이것. ②~이다. ③여기. ④이에. ⑤옳다. 바르다. ⑥바르게 하다. ⑦옳다고 인정하다. 옳다고 여기다. ⑧바로잡다. ⑨다스리다. ⑩~라 할 수 있다. ~로 칠 수 있다.謂(위): ❶~라고 하다. ~라고 부르다. ~라고 일컫다. ②말하다. 이르다. 일컫다. ③가리키다. ④논평(論評)하다. ⑤설명(說明)하다. ⑥알리다. 고(告)하다. ⑦생각하다. ⑧힘쓰다. ⑨어찌하랴. ⑩이르는 바. 이름. ⑪까닭. 이유(理由). ⑫함께.過(과): ❶허물. 잘못. ②낫다. 넘다. 우월(優越)하다. 초과(超過)하다. ③지나다. ④지나는 길에 들르다. ⑤경과(經過)하다. (시간(時間)이 지나가다. / 어떤 단계(段階)나 시기(時機), 장소(場所)를 거치다.) ⑥왕래(往來)하다. 교제(交際)하다. ⑦지나치다. ⑧분수(分數)에 넘치다. ⑨넘다. ⑩나무라다. ⑪보다. 돌이켜 보다. ⑫재앙(災殃) (화).矣(의): ❶~이다. ②~었다. ③~리라. ④~도다. ⑤~뿐이다. ⑥~느냐? ⑦~여라. ⑧어조사(語助辭).
<접기>
명심보감(明心寶鑑) 정기편(正己篇) 021
■子曰. ■자왈.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過而不改 是謂過矣. ■과이불개 시위과의. ■잘못을 저질렀는데도 바로잡지 않는 것, 이를 잘못이라 한다. (잘못을 저질렀는데도 바로잡지 않는 것을 잘못이라 한다.)
<더보기> <접기>
過(과): ❶허물. 잘못. / 첫 번째의 과(過)는 ‘잘못을 저지르다’의 뜻으로 해석(解釋)함. ②낫다. 넘다. 우월(優越)하다. 초과(超過)하다. ③지나다. ④지나는 길에 들르다. ⑤경과(經過)하다. (시간(時間)이 지나가다. / 어떤 단계(段階)나 시기(時機), 장소(場所)를 거치다.) ⑥왕래(往來)하다. 교제(交際)하다. ⑦지나치다. ⑧분수(分數)에 넘치다. ⑨넘다. ⑩나무라다. ⑪보다. 돌이켜 보다. ⑫재앙(災殃) (화).改(개): ❶(잘못된 일이나 마음을) 바로잡다. 교정(矯正)하다. ②(틀린 것을) 고치다. 바로잡다. 정정(訂正)하다. 수정(修正)하다. ③고쳐지다. ④바꾸다. 변경(變更)하다. 변개(變改)하다. ⑤바뀌다. 달라지다. 변(變)하다. 변모(變貌)하다. ⑥만들다. ⑦개혁(改革)하다. ⑧개혁(改革). ⑨성(姓)의 하나. ⑩다시. ⑪따로. ⑫새삼스럽게.
<접기>
출전(出典): - 논어(論語) 위령공편(衛靈公篇)
원문(原文) / 해석(解釋): 子曰:「過而不改,是謂過矣。」
참고(參考): - 과(過)
과(過), 즉 ‘잘못’에 관한 이야기는 논어(論語)의 여러 곳에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關聯)된 논어의 구절(句節)로는 학이편(學而篇)의 “잘못을 저지르면 고치기를 꺼려하지 마라”라는 뜻의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가 많이 알려져 있으며, 이인편(里仁篇)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도 있습니다.
觀過 斯知仁矣. 관과 사지인의. 잘못을 살펴보면 인(仁)을 알게 된다. (그 사람이 저지른 잘못을 살펴보면 그 사람이 인자(仁者), 즉 어진 사람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다.)
사람은 누구나 잘못을 저지를 수는 있으나, 잘못을 저지른 것을 깨닫고 바로 고치는 것이 도리에 맞는 일이며 그러한 사람이 사람을 올바른 사람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공자는 그 사람이 잘못을 저지르고 어떤 행동을 하는지를 보고 그 사람의 인품을 알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다음은 위의 내용이 실려 있는 논어 이인편의 원문 입니다.
출전(出典): - 논어(論語) 이인편(里仁篇)
원문(原文): 子曰:「人之過也,各於其黨。觀過,斯知仁矣。」
원문(原文) / 해석(解釋):
子曰. 자왈.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人之過也 各於其黨. 인지과야 각어기당. 사람의 잘못은, 각각(各各) 그의 무리를 따른다. (사람의 잘못은, 그 사람이 어떤 부류(部類)의 사람인가에 따라 다르다.)
<더보기> <접기>
各(각): ❶각각(各各). 각자(各自). 제각기. 따로따로. ②모두. 다. 전부(全部). ③여러. ④서로. 마찬가지로. ⑤다르다. 각각(各各)이다.於(어): ❶따르다. ②기대다. 의지(依支)하다. ③가다. ④있다. 존재(存在)하다. ⑤~에. ~에서. ⑥~에. ~에게. ⑦~에. ~에 대해. ⑧~보다. ⑨~부터. ⑩~로. ⑪탄식(歎息)하다 (오). ⑫아아 (오). ⑬까마귀 (오).黨(당): ❶(폄하(貶下)하여 부르는 말) 무리. 한동아리. 집단(集團). 단체(團體). 파벌(派閥). 도당(徒黨). 패거리. / 여기에서는 ‘부류(部類, 서로 구별(區別)되는 특성(特性)에 따라 갈린 종류(種類)’의 뜻으로 해석(解釋)함. ②당(黨). 정당(政黨). ③마을. 향리(鄕里). ④일가(一家). 친척(親戚). 친족(親族). ⑤바. 곳. 소(所). 장소(場所). ⑥고대(古代) 지방(地方) 조직(組織)의 이름. 고대(古代) 지방(地方) 호적(戶籍) 편제(編制) 단위(單位). 일당(一黨)은 오백가(五百家)/오백호(五百戶). ⑦성(姓)의 하나. ⑧아마도. 혹시(或是). ⑨거듭. 빈번(頻繁)히. ⑩접(接)하다. 사귀다. ⑪친(親)하게 지내다. ⑫돕다. ⑬편(便)들다. 역성들다. 편애(偏愛)하다. 치우치다. ⑭아부(阿附)하다. 아첨(阿諂)하다. ⑮착하다. ⑯아름답다. ⑰곧다. 바르다. 정직(正直)하다.
<접기>
觀過 斯知仁矣. 관과 사지인의. 잘못을 살펴보면 곧 인(仁)을 안다. (그 사람이 저지른 잘못을 살펴보면 곧 그 사람이 어진 사람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다.)
<더보기> <접기>
觀(관): ❶보다. 살피다. 구경하다. ②보이게 하다. 나타내다. ③보게 하다. ④점(占)치다. ⑤모습. 모양(模樣). 경치(景致). 경색(景色). 풍경(風景). 풍광(風光). ⑥용모(容貌). ⑦생각. 견해(見解). 관점(觀點). 인식(認識). ⑧누각(樓閣). ⑨황새. ⑩괘(卦)의 이름. ⑪성(姓)의 하나.斯(사): ❶바로. 즉(卽). ~하면 곧. ~하면 바로. ②~의. ③그래서. 이에. ④이. 이것. ⑤잠시(暫時). 잠깐. ⑥모두. 죄다. ⑦쪼개다. 가르다. ⑧떠나다. ⑨희다. ⑩다하다. ⑪떨어지다. ⑫낮다. ⑬천(賤)하다. *仁者(인자): 마음이 어진 사람. 인자(仁慈)한 사람.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