治家治身者 猶如構屋者先固基址. 치가치신자 유여구옥자선고기지. 집안을 다스리거나 수양(修養)을 쌓는 것은, 집을 짓는 사람이 먼저 터를 견고히 하는 것과 같다. (집안을 다스리고 수양(修養)을 쌓는 것은, 집을 짓는 것과 같이 먼저 터를 견고히 해야한다.)
治(치): 다스리다
家(가): 집
治(치): 다스리다
身(신): 자기
者(자): ~라는 것은
猶(유): 같다
如(여): 같다
構(구): 집을 짓다.
屋(옥): 집
者(자): 사람
先(선): 먼저
固(고): 굳다
基(기): 터. 집/건축물을 지었거나 지을 자리
址(지): 터. 집/건축물을 지었거나 지을 자리
※어구(語句): - 治家(치가): 집안을 다스림. 집안의 일을 다스림.- 治身(치신): 수양(修養)을 쌓음. 수신(修身)함.- 猶如(유여): ~와 같다. 마치 ~와 같다. 흡사(恰似)하다. - 基址(기지): ❶건축물의 기초. ②사업의 근본을 비유하여 사용되는 말.*修身(수신): 마음과 행실(行實)을 바르게 닦아 수양(修養)함. 악(惡)을 물리치고 선(善)을 북돋아서 마음과 행실(行實)을 바르게 닦아 수양(修養)함. 심신(心身)을 도야(陶冶)하고 덕성(德性)을 함양(涵養)함.
※음(音)과 훈(訓):
<더보기> <접기>
治(치): ❶다스리다. 관리(管理)하다. 처리(處理)하다. ②다스리다. 나라나 집안의 일을 보살피고 주재(主宰)하다. ③다스려지다. 질서(秩序)가 바로잡히다. 안정(安定)되다. 태평(太平)하다. ④처벌(處罰)하다. 처단(處斷)하다. ⑤학문(學問)을 닦다. 연구(硏究)하다. ⑥고치다. 병을 고치다. ⑦익히다. 배우다. ⑧견주다. ⑨돕다. ⑩성(盛)해지다. ⑪도읍(都邑)하다. ⑫수양(修養)하다. ⑬구걸(求乞)하다. ⑭공(功). 공적(功績). ⑮도읍(都邑). ⑯정사(政事). 정치(政治). ⑰정도(正道). 사람의 도리(道理). ⑱말. 언사(言辭). ⑲조서(調書). ⑳감영(監營). ㉑강(江)의 이름 (이).家(가): ❶집. ②자기(自己) 집. ③자기(自己)와 어떤 관련이 있는 사람. ④가족(家族). ⑤집안. 가문(家門). 문벌(門閥). ⑥지체. 사회적(社會的) 신분(身分)이나 지위(地位). ⑦조정(朝廷). ⑧도성(都城). ⑨전문가(專門家). 정통(精通)한 사람. ⑩학자(學者). ⑪학파(學派). ⑫남편(男便). ⑬아내. ⑭마나님. ⑮살림살이. ⑯집을 장만하여 살다. ⑰여자(女子) (고).治(치): ❶다스리다. 관리(管理)하다. 처리(處理)하다. ②다스리다. 나라나 집안의 일을 보살피고 주재(主宰)하다. ③다스려지다. 질서(秩序)가 바로잡히다. 안정(安定)되다. 태평(太平)하다. ④처벌(處罰)하다. 처단(處斷)하다. ⑤학문(學問)을 닦다. 연구(硏究)하다. ⑥고치다. 병을 고치다. ⑦익히다. 배우다. ⑧견주다. ⑨돕다. ⑩성(盛)해지다. ⑪도읍(都邑)하다. ⑫수양(修養)하다. ⑬구걸(求乞)하다. ⑭공(功). 공적(功績). ⑮도읍(都邑). ⑯정사(政事). 정치(政治). ⑰정도(正道). 사람의 도리(道理). ⑱말. 언사(言辭). ⑲조서(調書). ⑳감영(監營). ㉑강(江)의 이름 (이).身(신): ❶자기(自己). 자신(自身). ②나. ③몸. 신체(身體). ④줄기. 주된 부분. ⑤생명(生命). 목숨. ⑥몸소. 친히. ⑦체험(體驗)하다.者(자): ❶~란. ~라는 것은. ~라는 자는. ②사람. 놈. ③것. ④곳. 장소(場所). ⑤~면. (접속사(接續詞). ⑥~와 같다. ⑦적다. 기재(記載)하다.猶(유): ❶같다. 똑같다. ②꾀하다. ③망설이다. 머뭇거리다. ④말미암다. ⑤그림을 그리다. ⑥오히려. ⑦가히. ⑧다만. ⑨이미. ⑩크게. 지나치게. ⑪~부터. ⑫그대로. ⑬마땅히. ⑭원숭이. ⑮태연(泰然)한 모양(模樣). ⑯허물. 잘못. ⑰움직이다 (요). ⑱흔들리다 (요).如(여): ❶~와 비슷하다. ~와 같다. ~와 같게 하다. ②미치다. 닿다. ③~과. ~와 함께. ④~보다 더. ⑤따르다. 좇다. ⑥만일(萬一). 만약(萬若). ⑦말을 잇다 (이).構(구): 집을 짓다. 屋(옥): ❶집. ②휘장 (악).者(자): ❶사람. 놈. ②것. ③곳. 장소(場所). ④~면. (접속사(接續詞). ⑤~란. ~라는 것은. ~라는 자는. ⑥~와 같다. ⑦적다. 기재(記載)하다.先(선): ❶먼저. 미리. 앞서. 우선(于先). ②옛날. 이전(以前). ③앞. 처음. 으뜸. 앞장. 선두(先頭). ④돌아가신 이. 돌아가신 아버지. ⑤앞선 사람. 선구(先驅). ⑥조상(祖上). ⑦형수(兄嫂). ⑧앞서다. 뛰어넘다. 이끌다. ⑨나아가다. 앞으로 가다. ⑩높이다. 중(重)히 여기다. ⑪뛰어나다.固(고): ❶굳다. 단단하다. ②굳히다. 굳어지다. ③완고(頑固)하다. 고루(固陋)하다. ④우기다. ⑤독점(獨占)하다. ⑥가두다. ⑦진압(鎭壓)하다. 안정(安定)시키다. ⑧편안(便安)하다. ⑨거듭. 여러 번. 굳이. ⑩굳게. 단단히. ⑪반드시. 틀림없이. ⑫참으로. 진실로. ⑬오로지. 한결같이. 항상(恒常). ⑭처음부터. 본디. 원래(原來). ⑮이미. ⑯이에. 도리어.基(기): 터. 집/건축물을 지었거나 지을 자리.址(지): 터. 집/건축물을 지었거나 지을 자리.
<접기>
명심보감(明心寶鑑) 정기편(正己篇) 056
■直言訣曰. ■직언결왈. ■직언결(直言訣)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治家治身者 猶如構屋者先固基址. ■치가치신자 유여구옥자선고기지. ■“집안을 다스리거나 수양(修養)을 쌓는 것은, 집을 짓는 사람이 먼저 터를 견고히 하는 것과 같다. (집안을 다스리고 수양(修養)을 쌓는 것은, 집을 짓는 것과 같이 먼저 터를 견고히 해야한다.)
<더보기> <접기>
治家(치가): 집안을 다스림. 집안의 일을 다스림.治身(치신): 수양(修養)을 쌓음. 수신(修身)함.*修身(수신): 마음과 행실(行實)을 바르게 닦아 수양(修養)함. 악(惡)을 물리치고 선(善)을 북돋아서 마음과 행실(行實)을 바르게 닦아 수양(修養)함. 심신(心身)을 도야(陶冶)하고 덕성(德性)을 함양(涵養)함.猶如(유여): ~와 같다. 마치 ~와 같다. 흡사(恰似)하다. 構(구): 집을 짓다. 屋(옥): ❶집. ②휘장 (악).基(기), 址(지): 터. 집/건축물을 지었거나 지을 자리.基址(기지): ❶건축물의 기초. ②사업의 근본을 비유하여 사용되는 말.
<접기>
■立身者先要其德行, ■입신자선요기덕행, ■자기를 바로세우려는 사람은 먼저 자기의 덕(德)을 닦아야 하며, ■사회에 나아가서 자기의 기반을 확립하여 출세하려는 사람은 먼저 자기의 덕(德)을 닦아야 하며,
<더보기> <접기>
立身(입신): 사회에 나아가서 자기의 기반을 확립하여 출세하다. 세상에서 떳떳한 자리를 차지하고 지위를 확고하게 세우다.要(요): ❶~해야 한다. 마땅히 ~해야 한다. ②바라다. 희망하다. 원하다. ③중요하다. ④요약하다.
<접기>
■成家者先要其産業. ■성가자선요기산업. ■어떠한 일에 전문가가 되려는 사람은 학업(學業)에 힘써야 한다.
<더보기> <접기>
成家(성가): ❶학문/기술이 뛰어나서 일가(一家)를 이루다. 전문가가 되다. ②결혼하여 가정을 구성하다.産(産): ❶자라다. ②낳다.業(업): ❶기초. ❷학업(學業). ③업. ④일. 직업.
<접기>
■治家者須葺其房屋, ■치가자수즙기방옥, ■집안을 다스리는 사람은 마땅히 자기의 집을 수리해야 하며,
<더보기> <접기>
須(수): ~해야 한다. 반드시/마땅히/모름지기 ~해야 한다. ~할 필요가 있다.葺(즙): ❶건축물을 수리하다. ②띠로 지붕을 덮다. 지붕을 이다. ③깁다. 떨어지거나 해어진 곳을 꿰매다.房屋(방옥): 집. 주택. 가옥. 건물.
<접기>
■舍修可以庇人物, ■사수가이비인물, ■집을 손질해야 사람과 물건을 보호할 수 있고,
<더보기> <접기>
修(수): ❶고치다. 손질하다. ②닦다. 익히다. 꾸미다.可以(가이): ❶~할 수 있다. 가능하다. ②~해도 좋다. ~해도 된다.庇(비): ❶보호하다. 감싸다. ②의탁하다. 의지하다. ③덮다. ④허물 (자).
<접기>
■立身可以奉神明. ■입신가이봉신명. ■자기 자신이 바로 서야 정신을 보전(保全)할 수 있다.
<더보기> <접기>
立身(입신): 사회에 나아가서 자기의 기반을 확립하여 출세하다. 세상에서 떳떳한 자리를 차지하고 지위를 확고하게 세우다.奉(봉): ❶보전(保全)하다. 온전하게 보호하다. 지키다. ②받들다. ③기르다. 양육하다.神明(신명): ❶정신. 정신상태. ②天地神明(천지신명). 하늘과 땅의 신령.
<접기>
■全家可以安長幼 治國可以保君子. ■전가가이안장유 치국가이보군자. ■집안이 온전(穩全)해야 부모님과 자식(子息)들이 아무런 탈 없이 평안히 지낼 수 있으며, 나라가 다스려져야 왕과 백성들이 편안할 수 있다.
<더보기> <접기>
全(전): ❶온전(穩全)하다. ❷무사(無事)하다.安(안): ❶안존(安存)하다. 아무런 탈 없이 평안히 지내다. ❷편안하다.長幼(장유): 어른과 아이. 여기에서는 부모님과 자식(子息)으로 해석함.治(치): ❶다스려지다. 질서가 바로 잡히다. ②다스리다. ③관리하다. 손질하다. 정비하다. ④치료하다.君(군): ❶왕. 임금. 영주. ②부모. ③남편.子(자): ❶사람. 여기에서는 백성으로 해석함. ②남자. ③아들. ④자식(子息).
<접기>
■若基址不實 屋必崩裂. ■약기지불실 옥필붕렬. ■만일 근본(根本)이이 부실(不實)하면, 집은 반드시 무너지고 터져 갈라진다.
<더보기> <접기>
若(약): ❶만약(萬若). 만일(萬一). ②같다.不實(부실): ❶내용이 실속이 없고 충분하지 못하다. ②몸/마음/행동 등이 튼튼하지 못하고 약하다.崩裂(붕렬): 무너지고 터져 갈라지다.
<접기>
■心行若虐 身體危辱 家必喪亡. ■심행약학 신체위욕 가필상망. ■마음과 행실(行實)이 만일 모질다면, 몸은 위태롭고 모욕을 당하며 집은 반드시 망하여 없어진다.
<더보기> <접기>
虐(학): 모질다. 마음씨가 몹시 매섭고 독하다.喪亡(상망): 망하여 없어지다.
<접기>
■百姓離亂 國必傾墜 君臣何保? ■백성리란 국필경추 군신하보? ■백성(百姓)들이 서로 화합하지 못하며 사회가 혼란스럽고 술렁이면, 나라는 반드시 무너지니, 왕과 신하들을 어찌 보호하겠는가?
<더보기> <접기>
離(리/이): ❶반목(反目)하다. 서로 시기하고 미워하다. ❷불화(不和)하다. 서로 화합하지 못하다. ③배반하다. ④만나다. ⑤떠나다. ⑥떨어지다.亂(란/난): ❶사회가 동요하다. 사회가 혼란스럽고 술렁이다. ②격변하다. ③어지럽다. ④난리(亂離).傾(경): ❶무너지다. ②기울다. ③바르지 않다.墜(추): ❶무너지다. ②낙하하다. 떨어지다.
<접기>
■家若喪亡 長幼何托? ■가약상망 장유하탁? ■집안이 만일 망하여 없어진다면, 부모님과 자식들은 무엇을 의지하겠는가?
■身若危辱 神明何安? ■신약위욕 신명하안? ■몸이 만일 위태롭고 모욕을 당한다면 정신이 어찌 편안하겠는가?
■摧崩房屋 人物何庇? ■최붕방옥 인물하비? ■집이 무너지면 사람과 물건을 어찌 보호하겠는가?
■成敗如斯 孰可察也? ■성패여사 숙가찰야? ■성공(成功)과 실패(失敗)가 이와 같으니, 무엇을 생각해 보아야 하겠는가?”
<더보기> <접기>
成敗(성패): 성공(成功)과 실패(失敗).斯(사): ❶이. 이것. ②천하다. 낮다.孰(숙): ❶무엇. ②누구. ③어느. ④익다.可(가): ~해도 좋다. ~할 수 있다.察(찰): ❶생각하여 보다. ②살피다. ③조사하다.
<접기>